분류 전체보기 (95) 썸네일형 리스트형 【현직자 리얼 합격 TIP】 교직원/대학교교직원/워라벨/시설안전관리/기술직렬/공대/대기업/자소서항목/면접 답변/합격스펙/하루일과/KPI 대학 건물의 시설과 관련된 사항들을 행정적으로 처리하는 직무 바로 시설 안전 관리 입니다! #기계 , #전기, #공조, #안전, 화재, 설비, 건축 등의 다양한 분야의 지식들이 총제적으로 적용되는 매력적인 직무! 시설에만 국한하지 않고 이공계 대학의 연구실 안전에도 관련성이 많기에 자신의 주력 전공과 관련된 전문성이 있으면서 다양한 지식을 갖춘다면 성공 취업에 한 발 더 다가갈 수 있을거에요! 오늘의 OZIC 입니다! #로저멘토 님은 현재 S대학교에서 기술직렬 교직원으로 (행정 X) 근무하며 대기업과 공기업을 거쳐 교직원으로 종착하신 멘토님입니다! 성과 압박도 낮고 안정성과 워라밸이 좋은 대학교 교직원! 공대 졸업생에게 특화된 직무로서 오로지 취준생분들을 위한 찐-한 취뽀 정.. 딥택트 시대, 높아지는 커리어와 직무 개발 니즈 [OZIC으로 전문성 갖추는 방법] 언택트를 넘어 딥택트다. 사람들은 코로나19로 전개된 언택트 상황에서 정말 필요한 대상에 집중하게 됐다. 이 상황에서 나온 말이 딥택트다. 선택적으로 더 깊게 들여다보고 가까이 다가가겠다는 뜻이다. 자신에게 더 맞는 것을 찾아 나서는 사람들의 경향을 보여준다. 딥택트 상황, 높아지는 커리어 개발 니즈 딥택트 경향은 커리어 영역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자신에게 맞는 일을 찾으려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커리어 주목도가 높아졌다. 최근 인기를 얻고 있는 각종 직무 및 커리어 플랫폼의 교육콘텐츠도 현 상황의 방증이다. 더 일을 잘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알려주는 아티클 형식의 콘텐츠 플랫폼이 증가하는 상황도 커리어 개발 니즈가 증가하는 상황을 역으로 보여준다. 내게 맞는 직무 찾는 방법 https://bit.l.. [자소서 쓰는 순서] 만 바꿔도, 합격률 2배 상승?? 여러분들이 하시는 자소서 쓰는 순서!!! (이렇게 하시면 X입니다.) 순서를 이야기하기 전에 알고 가야 할 것!!! 여러분들에게 자소서를 통해서 알고 싶은 것은 경험 속에서 나오는 역량이 궁금한 것이지 단순 경험이 궁금한 것이 아니에요. 여러분 자소서 쓰는 순서 처음 들어봤죠? 자 지금부터 이렇게 하시면 안 됩니다!!!! 1. 자소서가 떠 있는 공고문 확인(자소설닷컴, 잡코라아 등등) 2. 어떤 자소서 문항으로 되어 있는지 확인 3. 그 문항을 쓰기 위해 경험을 생각에 봉착을 함 4. 경험이 없으니 회사 홈페이지에 들어감 (떡이라도 하나 나올까 봐... 하지만 나오지 X) 5. 그래서 합격자소서를 보기 위해 잡코리아, 사람인 등등 찾아다님 (이런 게 합격해? 멘붕오고) 6. 의지를 잡고 쓰려고.. [면접 꿀TIP] 면접 지방 근무 & 야근 질문 | 면접관이 지방 근무 & 야근 가능한지 묻는다면 답변은?! 혹시 자네 지방근무 가능한가? 면접관 왈~ 지방근무 가능합니까? 그러면 어떻게 대답해야 할까요? 간단합니다. "네" 한마디면 됩니다. 여러분들 고민하지 마세요! 이것은 뒤에 지방에서 살아왔다, 사례, 근거 다 ~ 필요 없습니다!!!! 혹시 자네 야근 가능한가? 면접관 왈~ 야근 가능 합니까? 요즘에는 52시간 때문에 잘 안 물어봅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이나 중견기업은 물어봅니다. 그럼 어떻게 답변해야 할까요? 간단합니다. 속으로 말하고 있죠? "네" 이렇게 답변하시면 됩니다. 여러분 당황스러우셨죠? 사실 답변이라고 할게 별거 없어요. "네"라고 답변하시면 됩니다. 그 뒤에 블라블라 설명할 필요도 없습니다!! 왜?! 어차피 들어가려고, 입사하려고 그 자리에 앉아있는 거잖아요. 그럴 .. ["회사에 궁금한 것 없어요?" 질문] OZIC 멤버십 무제한 I 어떤 질문을 해야 취뽀할까?! [면접 꿀TIP] "회사에 궁금한 것 없어요?" 이런 난해한 질문 면접을 보다 맨 마지막에 면접관이 "수고 많으셨고요. 마지막으로 저에게 할 질문이 있으세요?" 라고 묻는 경우 그냥 "없습니다" 하고 끝나면 되게 좋은데 콕 집어서 물어볼 때가 있어요. 아니면 옆에서 뭔가 하나씩 질문을 해서 나도 해야 할 때!! 사실 이 질문의 답변이 되게 힘들죠. WHY? 우리는 생각보다 궁금한 게 없어요. 그런데 질문을 하니까 되게 난감한 거예요. 그리고 실제 질문 자체를 되게 잘해야 되거든요. WHY? 질문을 통해서 여러분들의 수준이 평가가 되기도 합니다. 너무 쉬운 걸 물어봐도 이상하고 급여 물어보기도 조금 그렇고 복지 물어보기도 그렇고 그렇죠? 뭘 해도 좀 난해한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면접관님들은 왜?! 여러분들.. [자소서 꿀TIP] OZIC 무제한 멤버십 I 엔터 두 번 치면 합격 자소서가 된다? 문단을 나눠야 가독성이 올라간다! I 자소서에 대한 고민 2분 정리 자소서의 가독성을 높이는 방법이 있다고?! (아래에 꿀TIP 글 있어요! 보시면 자소서 가독성을 높여야 하는 이유를 알 수 있답니다.) 하나의 경험이 있으면 그 경험 중에서도 줄로 쓰는 게 아니라 줄 글 쓴 다음에 Enter 땅!!땅!! 이렇게 문단을 구분하는 것을 문단 띄기라고 합니다. 자소서에만 있는 스킬과 같은 겁니다. 물론 문단 띄기를 할 수 없는 회사를 같은 경우에는 그냥 문단 띄기를 하지 않으시면 됩니다. 하지만 문단 띄기를 할 수 있는 회사들이 있어요. 그럼 저는 무조건!! 문단 띄기를 하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가독성 좋은 문단 띄는 방법은?! 문단 띄기 방법은 역량과 상황을 붙여주세요 (문단 띄기) 액션 작성 (문단 띄기) 결과와 역량 붙여서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 [이런지원자합격]면접관으로서 이런 지원자는 꼭 뽑고 싶었다! 인싸담당자의 솔직한 고백! 이런 답변은 어나더 레벨! 면접관의 마음을 흔드는 방법! 이번 글은 고급 편이라고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예전에 역량을 정의하고 완성형으로 답하라! 이것만 하셔도 매우 면접을 잘 보실 거예요. 하지만 조금 더 한 단계 높은 수준의 레벨이다 라고 생각을 좀 해 주시면 좋습니다. WHY? 면접관이 볼 때도 평가 이렇게 하는 것이 아니라 "와 쟤 괜찮다" 이렇게 생각이 들 정도니까요. 그래서 글 읽고 따라 해 보시고 준비해 주시면 여러분은 퍼펙트하게 면접 준비하실 거라 생각됩니다. 1. 자기의 역량을 정확하게 밝히시는 분들, 자신의 역량을 다시 한번 해석을 해줍니다. => 역량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 역량을 다시 한 번 정의하고 말하고자 하는 사례의 요약을 붙여 줘라 역량을 재정의 해 줄 경우 면접관이 느끼는 건 두 가지.. [면접::스크립트] 면접에서 스크립트가 없으면 망한다구요 아.시.겠.어.요? [면접 꿀TIP] 면접 스크립트를 써야 하는 두 가지 이유! 요즘에 트렌드가 스크립트를 안 쓰는 분위기에요. 그러다 보니 진짜 스크립트를 안 쓰고 면접장에 갑니다. 제가 왜 안 쓰냐고 물어보니까 "요즘에 스크립트에서 외우 거 얘기하면 다시 하라고 해서 그래서 그때 당황해서 안 씁니다"라고 얘기합니다. 그런 분들은 모의면접 보거나 실제 면접장에서 보면 내용이 막 산으로 가요.... 스크립트는 반드시 적어야 돼요. 반드시 써야 되고!! 저는 오히려 이럴 때일수록 스크립트를 더 완벽하게 외워서 안 쓴 것처럼 할 수 있을 정도가 되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자 이제 시작하니 집중해주세요. 첫 번째로 그 면접에서 여러분들이 말하게 될 것은 나의 역량이거든요. 나의 역량에서 가장 중요한 게 역 량의 재정의와 포부 그.. [실패 경험] | 면접관이 실패 경험을 묻는다면 합격하는 답변은?! 딱히 실패한 경험도 없는데...(쭈굴) 실패와 실수는 다른 것이다! 옛날에는 별로 그렇게 많이 물어보지 않았는데 요즘은 실패 경험을 정말 많이 물어보고 있어요!!! WHY? 실패 경험을 통해서 여러 가지를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들이 오해하는 것 중에 실패라는 것 자체가 엄연히 실수랑은 다른 이야기인데 실수 경험을 말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실수: 남들과 같은 비슷한 수준의 당연히 해야 하는 것에서 나의 실수로 일이 어그러뜨린 것 실패: 내가 남들보다 높은 목표, 도 전적인 것을 하다가 그것이 결 과적으로 잘 안된 것 실패를 하려면 1. 도전을 해야 한다. 2. 남들보다 높은 수준의 목표를 잡아야 한다. 경험을 묻는다면 합격하는 답변은?! 위의 두 가지를 이야기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우린 둘 다 없으니까 항상 문제겠죠.... .. [면접 꿀TIP] PT면접 | 면접관이 반하는 PT면접은 어떻게 준비하면 될까? 스터디에서 PT면접 준비 방법까지! PT면접? 정확히 알고 준비하자!! PT 면접 = Presentation 되게 어렵죠? 그리고 가장 많은 오해를 사는 영역이기도 합니다. 평가표에 발표력, 표현력이 평가에는 들어가 있는데 왜 넣는지 모르겠는데 가끔 넣더라고요.... 그걸로 평가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WHY? 대부분 비슷한 수준이기 때문입니다. 아주 못하는 경우는 가끔 있는데 아주 잘하는 경우는 드물거든요. 그리고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PT를 평생 한번 할까 말까 합니다. (많이 하는 직무는 있어요!) 그럼 왜 PT면접을 하느냐? 1. 산업군에 대한 이해와 관심도 2. 논리사고력(문제해결력) 이 두 개를 보기 위함입니다. PT면접은 총 4가지 유형 1. PT주제를 미리 알려주는 경우 주제를 알려주는데 쉬운 경우와 어려.. 이전 1 2 3 4 ··· 10 다음 목록 더보기